코로나19 확산 예방 및 고객님의 안전을 위해 상설전시/테마시승/가이드투어/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이 잠정적으로 중단되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닫기

오시는길

디자인은 인간의 욕구를 반영하는 동시에 삶을 풍요롭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습니다.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은 ‘Design to live by’라는 컨셉 아래, 자동차
디자인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일상 속 디자인 전반에 대한 다양한 디자인 전시를 여러분에게 선보입니다.

  • Habitat One Habitat One
    0 Habitat One

    ‘제너레이션 원’을 위한 지속 가능한 세상

    Habitat One

    도시는 현대인의 터전이자 시대를 움직이는 동력이며 우리의 모습이 담긴 거울입니다. 인류 문명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시에 축적된 인프라는 우리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드는데 기여했지만, 한정된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몰리면서 도시는 점차 거대한 ‘탄소 생성기’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인류를 위한 진보(Progress for Humanity)’ 라는 브랜드 비전을 바탕으로 도시의 주거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쉘터(Shelter)’ 솔루션에 대해 고민해 왔습니다. 이번 전시에서 제안하는 쉘터는 창의적이며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을 향유하는 터전으로서 모든 생명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전시 주제인 <해비타트 원(Habitat One)> 은 탄소중립 시대를 살아갈 첫 세대인 ‘제너레이션 원(Generation One)’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주거 솔루션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의 네번째 기획 전시인 <해비타트 원(Habitat One)>에서 바래와 에콜로직스튜디오, 두 개의 작가 그룹과 함께 구현한 쉘터 솔루션을 통해 창의력과 테크놀로지가 결합된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해 함께 상상해 보고, 탄소중립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공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래봅니다.

    [작가 소개]
    바래 BARE
    바래는 역동적으로 변모하는 도시의 환경과 시간에 조응하는 사물의 생산과 순환 체계에 관심을 두고 2014년부터 리서치 기반의 건축 작업을 지속해 오고 있다. 재료 분류 수집 로봇에서부터 키네틱 파빌리온, 장소 조건에 적응하며 형태를 달리하는 입체미디어 설치물 등 다양한 환경에 개입하는 크고 작은 장치들을 고안하는 프로젝트들을 선보이며, 운송과 재조립이 용이한 모듈식으로 작업을 접근함으로써 여러 용도로 재구축 되는 건축의 생산과 순환에 대한 고민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건축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고찰하며, ‘조립(assembly)’이라는 설계 및 제작 방법론과 ‘공기(air)’로 표상되는 비건축적 재료의 결합을 통해 가벼움의 건축을 실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최근 활동으로는 개인전인 <어셈블리 오브 에어>(팩토리2, 2021)가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협업을 통해 선보인 ‘에어빔 파빌리온’,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된 ‘에어 빈’이 있다.

    에콜로직스튜디오 ecoLogicStudio
    클라우디아 파스케로와 마르코 폴레토(Claudia Pasquero, Marco Poletto)가 2005년 런던에서 공동 설립한 에콜로직스튜디오는 건조환경을 위한 바이오테크놀로지에 특화된 건축 및 디자인 혁신 스튜디오로서, 탄소중립 실현을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상쇄하고 나아가 오늘날 도시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 일조하기 위해 자연을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모색한다. 박테리아와 미생물의 작동방식에 대한 연구를 근간에 둔 에콜로직스튜디오는 도시의 녹지화를 구현하는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2021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에서 선보인 ‘빗 바이오 봇’을 비롯하여 ‘포토신세티카 커튼’, ‘에어버블’, ‘바이오 팩토리’ 등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도심 속에서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생태학적, 미학적 관점을 담아 표현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그들이 시각화한 미래의 유토피아적 바이오시티를 통해 탄소 중립을 향해 한 걸음 더 다가감을 느낄 수 있다.

  • Tree One Tree One
    1 트리 원Tree One

    탄소중립 세대를 위한 인공 나무

    고도의 문명화로 인해 도시는 점점 커져갔고, 자연과의 공존 방법이 필요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기술의 발전은 더 이상 고도화가 아닌 자연의 원래 모습을 되찾아 가는 방식으로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에콜로직스튜디오 역시 다가올 미래의 위기에 맞서기 위해 자연에서 답을 찾고자 했습니다. 에콜로직스튜디오가 이번 전시를 위해 특별히 로봇 3D 프린터로 제작한 10m 높이의 ‘트리 원’도 발전된 기술을 바탕으로 자연을 탐구한 결실입니다. ‘트리 원’은 탄소중립시대의 첫 세대인 제너레이션 원을 위한 상징물이자 새로운 시대가 다가왔음을 알려주는 이정표입니다. 또한 다 자란 나무와 동일한 광합성 및 탄소 포집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광합성을 하는 녹조류인 ‘알게(Algae)’가 첨가된 바이오 폴리머를 사용해 3D 프린팅 기법으로 구현한 ‘트리 원’은 실제 나무처럼 숨을 쉬고 산소를 생성하며, 작품 내부에 저장한 탄소를 활용해 전체 구조가 호흡합니다. 인공 미생물학을 연구한 작가의 지식과 인공지능 기반 설계가 결합된 ‘트리 원’은 새로운 유형의 생명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성과 소멸이라는 순환 시스템을 내재한 바이오-디지털 나무인 ‘트리 원’은 새로운 시대의 상징으로서, 앞으로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인공 구조물들을 대체하는 인공지능 나무가 될 것입니다.



    Tree One 썸네일
    Habitat One

    [작가 소개]
    에콜로직스튜디오 ecoLogicStudio
    클라우디아 파스케로와 마르코 폴레토(Claudia Pasquero, Marco Poletto)가 2005년 런던에서 공동 설립한 에콜로직스튜디오는 건조환경을 위한 바이오테크놀로지에 특화된 건축 및 디자인 혁신 스튜디오로서, 탄소중립 실현을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상쇄하고 나아가 오늘날 도시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 일조하기 위해 자연을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모색한다. 박테리아와 미생물의 작동방식에 대한 연구를 근간에 둔 에콜로직스튜디오는 도시의 녹지화를 구현하는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2021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에서 선보인 ‘빗 바이오 봇’을 비롯하여 ‘포토신세티카 커튼’, ‘에어버블’, ‘바이오 팩토리’ 등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도심 속에서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생태학적, 미학적 관점을 담아 표현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그들이 시각화한 미래의 유토피아적 바이오시티를 통해 탄소 중립을 향해 한 걸음 더 다가감을 느낄 수 있다.

  • H.O.R.T.U.S. XL Astaxanthin.g H.O.R.T.U.S. XL Astaxanthin.g
    2 호르투스 XL 아스타잔틴.gH.O.R.T.U.S. XL Astaxanthin.g

    도시와 자연의 상생 가능성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조직체

    주거용 건물과 사무용 시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 중 하나로 에콜로직스튜디오는 자연 시스템의 생태지능에 기반한 ‘호르투스 XL 아스타잔틴.g’라는 작품을 통해 도시의 빌딩숲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에콜로직스튜디오는 산호 내부의 세포와 공생하는 미세 조류가 광합성을 통해 산호에게 에너지를 공급한다는 점에 착안했습니다. 산호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의 반투명 뼈대 구조에는 ‘트리 원’처럼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드는 젤리화 된 알게가 채워져 있습니다. 광합성으로 활성화되는 그들의 대사작용은 태양광을 산소와 바이오매스로 전환시킵니다. 작가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살아있는’이라는 개념을 현대 도시에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조직체로 구현했습니다. ‘호르투스는 XL’은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고해상도로 제작된 대형 바이오 조형물로 인간과 그 외의 생명체 모두를 포용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H.O.R.T.U.S. XL Astaxanthin.g 썸네일
    Habitat One

    [작가 소개]
    에콜로직스튜디오 ecoLogicStudio
    클라우디아 파스케로와 마르코 폴레토(Claudia Pasquero, Marco Poletto)가 2005년 런던에서 공동 설립한 에콜로직스튜디오는 건조환경을 위한 바이오테크놀로지에 특화된 건축 및 디자인 혁신 스튜디오로서, 탄소중립 실현을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상쇄하고 나아가 오늘날 도시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 일조하기 위해 자연을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모색한다. 박테리아와 미생물의 작동방식에 대한 연구를 근간에 둔 에콜로직스튜디오는 도시의 녹지화를 구현하는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2021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에서 선보인 ‘빗 바이오 봇’을 비롯하여 ‘포토신세티카 커튼’, ‘에어버블’, ‘바이오 팩토리’ 등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도심 속에서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생태학적, 미학적 관점을 담아 표현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그들이 시각화한 미래의 유토피아적 바이오시티를 통해 탄소 중립을 향해 한 걸음 더 다가감을 느낄 수 있다.

  • PhotoSynthEtica Walk PhotoSynthEtica Walk
    3 포토신세티카 워크PhotoSynthEtica Walk

    근미래 에너지 소재의 선순환 구조를 보여주는 배양 기관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의 창가를 따라 배치되어 전시 공간 전체를 아우르는 ‘포토신세티카 워크’는 광합성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킵니다. ‘포토신세티카 워크’의 취지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광합성 기술’과 ‘산책로’라는 두 단어가 합쳐진 이름입니다. 작가는 관람객들이 작품 주변을 산책하듯 이동하며 도시의 일상에서 잊혀졌던 자연의 순환을 경험하기를 희망합니다. 관람객들은 전시장 내부를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창가의 배양기관을 눈에 담고 알게가 산소를 내뿜으며 내는 소리를 함께 들을 수 있습니다. ‘포토신세티카 워크’는 전시장의 내부 온도를 낮추도록 창가에 배치되었으며, 배양된 알게는 식품을 비롯해 ‘트리 원’의 구성요소인 바이오 폴리머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관람객은 에콜로직스튜디오의 주요 소재인 알게를 관람하며 탄소중립 방안과 근미래 기술, 그리고 작품의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됩니다.



    PhotoSynthEtica Walk 썸네일
    Habitat One

    [작가 소개]
    에콜로직스튜디오 ecoLogicStudio
    클라우디아 파스케로와 마르코 폴레토(Claudia Pasquero, Marco Poletto)가 2005년 런던에서 공동 설립한 에콜로직스튜디오는 건조환경을 위한 바이오테크놀로지에 특화된 건축 및 디자인 혁신 스튜디오로서, 탄소중립 실현을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상쇄하고 나아가 오늘날 도시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 일조하기 위해 자연을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모색한다. 박테리아와 미생물의 작동방식에 대한 연구를 근간에 둔 에콜로직스튜디오는 도시의 녹지화를 구현하는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2021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에서 선보인 ‘빗 바이오 봇’을 비롯하여 ‘포토신세티카 커튼’, ‘에어버블’, ‘바이오 팩토리’ 등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도심 속에서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생태학적, 미학적 관점을 담아 표현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그들이 시각화한 미래의 유토피아적 바이오시티를 통해 탄소 중립을 향해 한 걸음 더 다가감을 느낄 수 있다.

  • Air of Blooms Air of Blooms
    4 에어 오브 블룸Air of Blooms

    지속 가능한 환경을 꿈꾸는 모두를 연결하는 공공 휴식형 쉘터

    바래가 상상하는 새로운 시대에서의 쉘터는 다양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움직임이 있는 공간이자 장소로, 자유로운 이동과 함께 스스로 구축되고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에 기반해 바래는 가까운 미래 도심 속 공공공간에서의 휴식이 필요한 때에 나타나고 이동하는 쉘터로 ‘에어 오브 블룸’을 제안합니다. ‘에어 오브 블룸’은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모듈형 로봇 유닛 ‘에어리Air(e)’들의 조합으로, 낮 동안에 태양을 따라 움직이며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태양전지 패널을 통해 축적합니다. 또한 접근하는 사람의 수를 파악 후 필요한 만큼 서로 결합되어 적합한 크기의 벤치나 휴식 장소를 만들고, 다양한 미디어 장치와 연결되며 일시적으로 인공 환경을 조성합니다. 가상의 디지털 자연과 현실의 도시가 어우러져 만들어 내는 ‘에어 오브 블룸’은 쉘터에 머무르는 이들이 향유할 수 있는 공동체적 경험을 새롭게 디자인합니다. 더불어 사물-사람-자연의 공존을 추구함으로써 공동체 사이를 적극적으로 연결하는 공간을 지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한 곳에 고정되어 방치되지 않고, 필요한 곳을 찾아 이동해 사람과 반응하며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움직이는 새로운 쉘터의 디자인입니다. 매번 새롭게 생산하고 쉽게 폐기하는 물건이나 인공구조물과는 다르게, 소비의 사회를 넘어 탄소배출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환경 구축의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Air of Blooms 썸네일
    Habitat One

    [작가 소개]
    바래 BARE
    바래는 역동적으로 변모하는 도시의 환경과 시간에 조응하는 사물의 생산과 순환 체계에 관심을 두고 2014년부터 리서치 기반의 건축 작업을 지속해 오고 있다. 재료 분류 수집 로봇에서부터 키네틱 파빌리온, 장소 조건에 적응하며 형태를 달리하는 입체미디어 설치물 등 다양한 환경에 개입하는 크고 작은 장치들을 고안하는 프로젝트들을 선보이며, 운송과 재조립이 용이한 모듈식으로 작업을 접근함으로써 여러 용도로 재구축 되는 건축의 생산과 순환에 대한 고민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건축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고찰하며, ‘조립(assembly)’이라는 설계 및 제작 방법론과 ‘공기(air)’로 표상되는 비건축적 재료의 결합을 통해 가벼움의 건축을 실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최근 활동으로는 개인전인 <어셈블리 오브 에어>(팩토리2, 2021)가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협업을 통해 선보인 ‘에어빔 파빌리온’,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된 ‘에어 빈’이 있다.

  • Inhabiting Air Inhabiting Air
    5 인해비팅 에어Inhabiting Air

    지구의 모든 종을 위한, 흔적을 남기지 않는 맞춤 거주지

    ‘인해비팅 에어’는 일시적으로 머무를 공간이 필요할 때 최적의 장소를 찾아 스스로 결합하고 해체하는 쉘터를 상상하며 제작된 작업입니다. 이동성이 강화된 이 작품은 가까운 미래 전세계 각지에 세워지게 될 수소 및 전기충전소를 거점공간으로 삼아 작은 크기의 모듈형 로봇 유닛인 ‘에어리Air(e)’가 모이고 흩어지는 방식으로 구축됩니다. 쉘터 안과 바깥의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도록 고안되어 도시의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자연 속에서 현대인이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고, 기후위기 속 동식물을 위한 대피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쌓아 올리는 일반적인 건축의 방식과 달리, 공중에서 결합되어 땅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동안 험한 지형이나 접근이 어려웠던 장소에 대한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기능적으로는 내부에 머무르는 사람 또는 동식물의 수와 크기에 맞게 공간의 크기가 변형되며, 외부의 환경을 스스로 판단해 단열효과를 지닌 공기 보호막을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방식으로 실내 환경을 조절합니다. 각각의 로봇 유닛 ‘에어리Air(e)’는 작동 및 사용자의 미디어 환경에 필요한 에너지를 태양 전지 패널로 직접 생산하고, 개인 또는 공유 미디어로도 사용되며 거주자와 외부의 환경 사이에 끊임없는 소통을 제공합니다. 이 쉘터는 사용 후, 다시 원래 모듈 단위로 해체되어 흔적을 남기지 않고 다양한 목적에 맞게 변형하여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해비팅 에어’는 환경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내며 가까운 미래에 탄소중립이 실현된 사회로 우리를 초대합니다.



    Inhabiting Air 썸네일
    Habitat One

    [작가 소개]
    바래 BARE
    바래는 역동적으로 변모하는 도시의 환경과 시간에 조응하는 사물의 생산과 순환 체계에 관심을 두고 2014년부터 리서치 기반의 건축 작업을 지속해 오고 있다. 재료 분류 수집 로봇에서부터 키네틱 파빌리온, 장소 조건에 적응하며 형태를 달리하는 입체미디어 설치물 등 다양한 환경에 개입하는 크고 작은 장치들을 고안하는 프로젝트들을 선보이며, 운송과 재조립이 용이한 모듈식으로 작업을 접근함으로써 여러 용도로 재구축 되는 건축의 생산과 순환에 대한 고민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건축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고찰하며, ‘조립(assembly)’이라는 설계 및 제작 방법론과 ‘공기(air)’로 표상되는 비건축적 재료의 결합을 통해 가벼움의 건축을 실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최근 활동으로는 개인전인 <어셈블리 오브 에어>(팩토리2, 2021)가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협업을 통해 선보인 ‘에어빔 파빌리온’,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된 ‘에어 빈’이 있다.

  • Expecting Generation One Expecting Generation One
    6 익스펙팅 제너레이션 원Expecting Generation One

    탄소중립 시대를 살아가게 될 첫 세대인 ‘제너레이션 원’을 기다리며

    현대자동차의 비전 ‘휴머니티를 향한 진보’는 인류와 사회, 더나은 미래를 위해 가장 옳은 일을 하고자 하는 우리의 의지입니다. 모빌리티 기업으로서 이동이라는 기본적인 가치를 지구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아이오닉 브랜드를 시작으로 전동화 패러다임으로 선제적으로 전환하고, 20여년간 수소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등 지속 가능한 미래를 앞당기는 여정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2021년, 현대자동차는 2045년 탄소중립 계획을 발표하고, 재생에너지 100%를 의미하는 RE100 움직임에 동참하여 기업 사용 전력량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도 이내로 억제하고 가까운 미래에 탄소 중립을 실현하여 우리의 후손은 탄소중립 시대를 살아갈 첫 번째 세대인 ‘제너레이션 원’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제너레이션 원’의 도래는 지구가 탄소로부터 자유로워졌음을 알리는 표지이자, 우리가 바로 다음 세대를 위하여 최소한의 책임을 다했음을 의미합니다. 현대자동차는 인류에 대해 가장 큰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귀를 기울이며, 2045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Expecting Generation One 썸네일
TOP